본문 바로가기

Linux (CentOS) 기본

Linux (CentOS) 설치 후 기본 세팅 1. (IP)

728x90

먼저 이 글은 본인이 서버를 자주 세팅해야한다는 이유가 있어,

까먹지 않기 위해 루틴을 만든 것이므로 개인차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 ㅎㅎ

 

(CentOS 기준)

 

보통 일반적인 서버에서 설치 한 후

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를 먼저 부여합니다.

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 폴더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현황

 

명령 : cd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 폴더에 보면

ifcfg-ens192를 열어 수정합니다. (환경에 따라 이름이 다를 수 있음)

 

vi ifcfg-ens192

ifcfg-ens192 파일 내부

 

BOOTPROTO=

이 부분에 DHCP 나, STATIC으로 나뉘는데,

차이는 다들 아실 것이고,

 

DHCP로 받을 경우 그림 하단 BOOTPROTO=STATIC 부터 끝까지지워서 사용하시면 되고,

고정IP로 사용 하시는 경우 BOOTPROTO=DHCP부분을 STATIC으로 변경해서

 

IPADDR=0.0.0.0

NETMASK=0.0.0.0

GATEWAY=0.0.0.0

 

0.0.0.0을 해당 사용하는 ip및 netmask로 변경

 

선택사항 : NAMESERVER 8.8.8.8 <- 구글 네임서버 주소

보통 네임서버는 /etc/resolv.conf 파일을 수정해서 사용해도 상관 없으나, 빠른 세팅을 위해 한번에 넣어주는 편입니다.

728x90